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공공 디지털 플랫폼의 역할과 활성화 방안

손영주 2020-11-30 View. 33,795

공공 디지털 플랫폼의 역할과 활성화 방안

- 플랫폼의 데이터와 서비스 관점에서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원장 최희윤, 이하 KISTI)은 공공 부문의 디지털 플랫폼에 대한 국내외의 구축 및 운영 사례를 파악하고, 역할 및 특성, 요구 기능을 분석하여 향후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 『KISTI 이슈브리프*』 제27호를 발간했다.

  * KISTI 이슈브리프 : KISTI는 국가과학기술정보 분야 대표 연구기관으로서, 최근의 국가·사회 이슈에 대해 폭넓은 조사와 정보/데이터 기반 분석 기법을 통해 문제 해결을 위한 지식과 시사점, 대응 방안을 제공하고자 “KISTI 이슈브리프”를 발간함(https://www.kisti.re.kr/promote/post/issuebrief)


공유경제의 등장과 함께 플랫폼 기업들의 급성장으로 인해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디지털 플랫폼은 미래사회의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 기업의 성패를 좌우할 뿐만 아니라 국가 산업 발전에 핵심 필수자원으로 인식되고 있다. 또한 디지털 플랫폼은 기존에 분리된 주체들 간의 ‘연결과 공유를 통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여 궁극적으로 공유경제를 가능케 하는 핵심 자원으로, 최근에는 전 세계적으로 플랫폼 중심의 비즈니스가 급증하여 새로운 산업으로 자리 잡고 있다.

  ㅇ 공공 디지털 플랫폼은 공공의 가치를 우선하며, 제공 주체에 따라 특정 산업을 육성하거나 대국민 공공 서비스를 통한 효율성 제고 및 국민의 행복, 안전 등 보편적인 공공의 가치를 충족시킴.

  ㅇ 플랫폼을 통해 핵심가치를 제공하는 주체가 사용자들을 상호 연결함으로써 새로운 가치(원가절감, 제품개발 속도 증대 등)를 창출함.

  ㅇ 공공 디지털 플랫폼은 플랫폼 내·외부 주체들 간에 정보가 실시간으로 공유, 경제활동 등을 지원함으로써, 공공의 이익과 경제적·사회적 부가가치를 지속적으로 창출하게 함.


공공 디지털 플랫폼은 대부분 정부 주도로 구축되고 있으며, 다수의 유관기관과 전문기관의 참여로 운영되어, 공공재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 『Data.gov』: 세계 최초로 구축된 미국의 국가차원 공공 데이터 플랫폼으로 민간과 학계, 정부가 공동으로 협력하여 공공 데이터의 시각화를 전문적으로 지원함.

   - 『FORTISSIMO*』: 유럽 EC I4MS(ICT Innovation for Manufacturing SMEs) 이니셔티브의 일환으로 구축된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 분야 공공 디지털 플랫폼을 소개함.

     * 공공부문의 기관들(14개국 15개 기관)과 INTEL, COMPUTE 등 민간부문의 기업이 핵심 파트너로 협력하여 핵심 자원과 서비스를 공동으로 구축하여 운영

   - 우리나라의 경우, 공공데이터전략위원회를 중심으로 데이터 개방정책을 수립하여 구축된 국가차원의 『공공데이터플랫폼*』을 운영 중임.

     * 국가/지방행정기관, 교육행정기관, 입법기관 등 925개 공공기관이 보유, 생성한 공공 데이터에 대한 통합 플랫폼.

   - 또한 정부부처 중심으로 『국가소재연구데이터플랫폼』, 『국가바이오연구데이터플랫폼』등이 운영 중이며, KISTI는 정부부처의 정책적 기반으로 과학기술 분야에 대한 다양한 R&D 지원 플랫폼*을 운영 중임.

      * 국가 R&D 정보플랫폼(NTIS), 연구환경 공유 활용 플랫폼(ScienceON), 국가연구데이터플랫폼(DataON)

 

공공 디지털 플랫폼은 국민의 행복, 안전 등 보편적인 공공의 가치를 우선하며, 대국민 공공 서비스를 통한 효율성 및 정보가치의 강화, 다양한 형태의 서비스 개발 등이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ㅇ (정보제공) 기존의 공공 서비스에서 수집된, 혹은 기업 데이터와 공공 데이터의 결합을 통해 가치 있고 효율적인 정보 제공을 목표로 함.

 ㅇ (정보가치의 극대화) 정보의 희소성, 비대칭성을 통한 정보 가치를 극대화시키는 공공 서비스 플랫폼을 구축하여 국민 혹은 기업 등이 참여한 다양한 정보의 부가가치를 제고하는 방향으로 분석서비스를 제공함.

 ㅇ (공공 서비스 고도화를 위한 중개 서비스) 공공 플랫폼을 통해 기존 공공 서비스의 고도화 기술체계를 구축, 고도화된 서비스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플랫폼의 개발 방향을 제시함.

 ㅇ (플랫폼 기능의 지속성) 민간 추진이 어려운 공익이나 공공의 가치를 추구하므로 지속적인 유지·개선으로 가치를 확산시켜야 함.

 ㅇ (오픈이노베이션 촉진 협력형 서비스) 데이터 및 서비스 부문에서 공공 플랫폼의 한계 극복을 위해 민관 협력형 오픈이노베이션을 지향함.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국가 경쟁력을 견인하는 중요한 정책적, 기술적 수단인 공공 디지털 플랫폼의 활성화를 위해서 기존 공공 플랫폼의 데이터 및 서비스에 있어서의 한계성 등을 개선하며, 다음과 같은 방안으로 추진되어야 한다. 

 ① 다면 시장 중심의 플랫폼 설계가 우선적으로 이루어지고,

 ② 언번들링* 기반 플랫폼의 세분화 전략을 수립하고,

    * 기존에 하나의 상품이었던 것을 쪼개는 행위를 말하며 상품의 차원을 넘어 기업프로세스, 서비스 프로세스를 쪼개어 보다 효율적인 가치사슬을 구성하는 것을 의미 

 ③ 디커플링*을 통한 서비스의 다변화를 추진하며,

    * 고객의 경험적 관점에서 핵심 고객의 가치사슬과 디지털 기술이 새롭게 재구성하는 가치사슬을 분해하여 그 일부를 비즈니스 모델화하는 과정

 ④ 플랫폼 기반 데이터 및 분석모델의 유통 활성화를 강화해야 함.


KISTI 최희윤 원장은 “소재 및 바이오 연구데이터 플랫폼 등의 공공 부문 디지털 플랫폼 구축에 적극 참여하고, 데이터의 활용을 위한 빅데이터, AI 분석 및 온라인 협업연구 등을 수행함으로써 국가 과학기술 및 산업 발전의 디지털 인프라 확립을 위해 전문기관으로서의 역량을 집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OPEN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누구나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 페이지에서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 담당부서
  • 담당자박성욱
  • 연락처042-869-1610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