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net 2020 온라인 컨퍼런스(웨비나) 개최((사)한국컴퓨터통신연구회)
작성자 최나은
작성일
2020-06-10
www.krnet.or.kr
KRnet 2020
The 28th Korea internet Conference
New Era of Digitalization through Intelligence and Autonomous Network
2020년 6월 22일(월) ~ 6월 23일 (화) 온라인 콘퍼런스(웨비나) 개최
- 추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주관: 정보통신산업진흥원, 정보통신정책연구원,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한국방속통신전파진흥원, 한국인터넷진흥원, ETRI,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한국정보화진흥원, (사)한국컴퓨터통신연구회
- 후원: sk broadband, HUAWEI, SK telecom, LG, KT, KT engcore, Netvision, VTECH, sysmate, forApp, CUUAR, QUBER, TELEFIELD, NVIDIA, KERIS,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한국인터넷정보학회, KISPA, 한국정보과학회, KLID, KICS
-
Keynote Speech Ⅰ(6월22일 월)
- 11:00~11:30 자동화로서의 인공지능, 그 위협과 새로운 기회 (장병탁 교수/서울대)
- 11:45~12:15 인공지능이 만드는 2035 미래상 실현방안(이윤근 소장/ETRI)
-
Keynote SpeechⅡ (6월23일 화)
- 11:00~11:30 Learning to MAke Decisions Optimally (정 송 교슈 / KAIST)
- 11:45~12:15 NVIDIA가 바라본 AI의 현재와 미래(유응준 대표 / NVIDIA Korea)
프로그램 6월 22일 (월)
TrackA: URLLC and Its Critical Applications | |||
---|---|---|---|
Session A1 | 차량통신(좌장: 김태윤 교수/ 순천향대) | ||
09:00`10;50 | A1-1 | 자율주행과 C-ITS기술 | 심상규 상무/ 펜타시큐리티시스템 |
A1-2 | 교통의 뉴 패러다임: 이모빌리티 기반 이동서비스와 통신 | 배효수 국장/이모빌리티연구조합 | |
A1-3 | 5G,와 차량통신 | 배정숙 시술총괄/ETRI | |
Session A2 | 로봇과 드론 (좌장: 양현종 교수 / UNIST) | ||
14:00~15:50 | A2-1 | 로봇 기술 동향 | 이상호 (그룹장/ABB 코리아) |
A2-2 | 소형 무인항공기 시스템 개발 및 비행시험 | 노정호 (교수/한국항공대학교) | |
A2-3 | 군집드론을 위한 제어 | 문준 (교수/서울시립대학교) | |
Session A3 | 5G와 URLLC (좌장: 이의신 교수 / 충북대) | ||
16:10~ 18:00 | A3-1 | URLLC 5G 표준 동향 | 박동주 (Technical Director/Ericsson-LG) |
A3-2 | 초저지연 네트워크 기술 | 이진성 (연구원/University of Colorado Boulder) | |
A3-3 | URLLC Use Case와 상용 전망 | 강지훈 (팀장/Ericsson-LG) | |
Track B: Convergence by Smart X | |||
Session B1 | 스마트제조/물류 (좌장: 최봉준 교수/숭실대) | ||
09:00~10:50 | B1-1 | Wireless Factory vs. Smart Factory | 김성륜 (교수/연세대학교) |
B1-2 | 5G 기반의 Wireless Manufacturing | 윤종필 (부장/SK텔레콤) | |
B1-3 | 물류4.0 구현을 위한 핵심 물류 기술 | 민연주 (연구위원/한국교통연구원) | |
Session B2 | 스마트시티 (좌장: 이정구 수석/TTA) | ||
14:00~15:50 | B2-1 | 스마트시티 데이터허브 | 김재호 (센터장/전자부품연구원) |
B2-2 | 플랫폼 기반 스마트시티 개념과 구현전략: 부산 국가시범도시 사례 | 황종성 (연구위원/한국정보화진흥원) | |
B2-3 | AI와 스마트시티 | 조영임 (교수/가천대학교) | |
B2-4 | 스마트시티 표준화 동향 | 김용운 (실장/ETRI) | |
Session B3 | 스마트농축산/해양 (좌장: 강신각 본부장/ ETRI) | ||
16:10~18:00 | B3-1 | 지능형 스마트축산 기술 | 송준익 (교수/연암대학교) |
B3-2 | 클라우드 스마트팜 기술 | 안은기 (대표이사/유비엔) | |
B3-3 | 디지털트윈 기반 아쿠아팜 플랫폼 기술 | 김세한 (실장/ETRI) | |
Track C: Beyond 5G & 6G, The Future Technologies and Services | |||
Session C1 | 5G, AI, Edge, and Automation (좌장: 최계원 교수/성균관대) | ||
09:00~10:50 | C1-1 | 5G, AI, MEC 비전 및 상용화 기술 | 이동기 (리더/SK텔레콤) |
C1-2 | 5G 네트워크 자동화 기술 | 옥기상 (팀장/KT) | |
C1-3 | 5G RAN 지능화, 자동화 기술 | 박인택 (상무/삼성리서치) | |
Session C2 | 6G Services and Technologies (좌장: 이재학 교수 / 연세대) | ||
14:00~15:50 | C2-1 | 6G 선도를 위한 국가 R&D 추진 방향 | 최성호 (PM/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 |
C2-2 | 3GPP 5G 진화 (Rel-17 & beyond) 표준화 동향 및 주요 이슈 | 윤영우 (상무/LG전자) | |
C2-3 | 6G 무선을 위한 도전적/기술적 과제, 미래기술 | 한진규 (상무/삼성리서치) | |
Session C3 | 5G Enablers: Vertical Industries, Slicing, B2B Services (좌장: 정성아 교수 / 경북대) | ||
16:10~18:00 | C3-1 | 5G+ 버티컬 산업용 NPN (Non-Public Network) 기술 | 신명기 (PL/ETRI) |
C3-2 | 5G Vertical Biz를 위한 네트워크 슬라이스 기술 | 박중건 (팀장/SK텔레콤) | |
C3-3 | Network Automation for 5G (E2E Network Slicing with SDN evolution) | 박기범 (수석연구원/삼성전자) | |
Track D: Quantum Network & Quantum ICT | |||
Session D1 | Quantum Network (좌장: 남기동 실장/ ETRI) | ||
09:00~ 10:50 | D1-1 | 개방형 인터페이스 기반 양자통신시험망 | 이원희 (이사/코위버) |
D1-2 | 양자통신 네트워크 표준화 현황 및 전망 | 김형수 (팀장/KT) | |
D1-3 | 양자암호의 개발과 전망 | 김장면 (매니저/SK텔레콤) | |
Session D2 | Quantum Computing (좌장: 박성수 단장 / ETRI) | ||
14:00~ 15:50 | D2-1 | 양자컴퓨팅/알고리즘 연구의 현재와 가까운 미래 | 방정호 (연구원/고등과학원) |
D2-2 | 양자컴퓨팅을 위한 반도체 스핀 큐비트 기술 | 김도헌 (교수/서울대학교) | |
D2-3 | NISQ 양자컴퓨터 응용 기술 | 지동표 (교수/서울대학교) | |
Session D3 | Quantum Materials (좌장: 장원규 박사 / KCA) | ||
16:10~ 18:00 | D3-1 | 양자통신 집적화 및 소형화 기술 | 윤천주 (기술총괄/ETRI) |
D3-2 | 양자 센싱과 메트롤로지 기술 | 박희수 (소장/한국표준과학연구원) | |
D3-3 | 단일광자검출기 | 박찬용 (부사장/㈜우리로) | |
Track E: BlockChain | |||
Session E1 | 블록체인 튜토리얼 (좌장: 김상철 교수 / 국민대) | ||
09:00~10:50 | E1-1 | 모두를 위한 블록체인 | 김병연 (Software Engineer/삼성전자) |
E1-2 | 블록체인의 트렌드 | 최윤일 (수석연구원/삼성전자) | |
Session E2 | 블록체인의 시범사업 (좌장: 황인표 센터장 / KISA ) | ||
14:00~15:50 | E2-1 | 글로벌 블록체인 트렌드 및 BaaS의 필요성 대두 | 정권호 (CSO/람다256) |
E2-2 | 신재생 에너지 공급인증서(REC) 거래 계약 플랫폼의 발전방향 | 정종식 (이사/코인플러그) | |
E2-3 | 분산ID(DID) 생태계 현황 분석 | 이강효 (선임연구원/한국인터넷진흥원) | |
Session E3 | 블록체인의 생태계 (좌장: 박진하 교수/건국대) | ||
16:10~18:00 | E3-1 | 크립토 파이낸스의 글로벌 동향과 미국 SEC의 기조 | 권용진 (전략이사/비브릭) |
E3-2 | 블록체인 기반 가상자산 결제 시스템 도입 전략 및 사례 | 황용택 (대표이사/다날핀테크) | |
E3-3 | 온체인 거버넌스와 스테이킹을 통해 살펴보는 블록체인 생태계 | 이진우 (President/Tezos Korea Foundation) |
프로그램 6월 23일 (화)
TrackF: Advanced Security & Privacy | |||
---|---|---|---|
Session F1 | 암호 및 보안 기반 기술 (좌장: 도인실 교수/ 이화여대) | ||
09:00~10;50 | F1-1 | AI 보안 취약성 및 대응 기술 동향 | 최대선 (교수/공주대학교) |
F1-2 | 동형 암호 및 함수 암호 기반 프라이버시 보호 기술 | 이문규 (교수/인하대학교) | |
F1-3 | AI를 활용한 부채널 분석 공격 기술 동향 | 한동국 (교수/국민대학교) | |
Session F2 | 융합보안(좌장: 최두호 실장 / ETRI) | ||
14:00~15:50 | F2-1 | 오픈소스 AI를 활용한 악성코드 탐지 시스템 구축 및 성능 분석/튜닝 | 오주형 (책임연구원/한국인터넷진흥원) |
F2-2 | 스마트공장 보안기술과 보안성 제고방안 | 이희조 (교수/고려대학교) | |
F2-3 | 블록체인에서의 보안 이슈 및 관련 기술 | 김호원 (교수/부산대학교) | |
Session F3 | 인프라보안 - 튜토리얼 (좌장: 권동현 교수 / 부산대) | ||
16:10~ 18:00 | F3-1 | 5G 엣지 보안 기술 | 박종근 (책임연구원/ETRI) |
F3-2 | 하드웨어 공급망 보안 | 최병철 (실장/ETRI) | |
Track G: Future Of Immersive Virtual Reality Space Media | |||
Session G1 | 차세대방송 및 실감미디어 - 튜토리얼 (좌장: 이현우 본부장 /ETRI) | ||
09:00~10:50 | G1-1 | 모바일방송 과거 현재 미래(3.0모바일) | 이상운 (교수/남서울대학교) |
G1-2 | ATSC 3.0 지상파 UHD 방송기술 및 서비스 | 박성익 (PL/ETRI) | |
G1-3 | AR/VR/MR 기술 동향 | 정순기 (교수/경북대학교) | |
Session G2 | 초저지연 텔레프레즌스 원천기술 (좌장: 박상준 박사 /ETRI) | ||
14:00~15:50 | G2-1 | MPEG-I Immersive Media Technology | 서정일 (실장/ETRI) |
G2-2 | AI 기반 초고화질 영상 품질 향상 및 복원 기술 | 정승원 (교수/고려대학교) | |
G2-3 | 메타데이터를 활용한 지능형 미디어 자율 창작 기술 | 손정우 (선임연구원/ETRI) | |
Session G3 | 차세대 실감 미디어 응용 서비스 기술 (좌장: 최연철 본부장 / NIPA) | ||
16:10~18:00 | G3-1 | 5G 기반 AR/VR/MR 공공/산업 융합 프로젝트 발굴/실증 사례 | 김민석 (팀장/정보통신산업진흥원) |
G3-2 | NIPA 실증사업: 5G 기반 증강현실(AR) 통합 지휘통제 플랫폼 | 이세환 (이사/연구소장/제이에스씨) | |
G3-3 | 몰입감 극대화를 위한 초실감 가상훈련시스템 | 이소연 (책임연구원/ETRI) | |
G3-4 | 오감 혼합현실과 영화 | 이승훈 (CEO/The2H) | |
Track H: Cloud - Native & Edge Computing | |||
Session H1 | Core Technology of Future Cloud Computing (좌장: 김태홍 교수/충북대) | ||
09:00~10:50 | H1-1 | Service Provider Edge Cloud | 배철민 (팀장/Ericsson-LG) |
H1-2 | Kubernetes with Future Cloud | 정철 (컨설턴트/아콘소프트) | |
H1-3 | Cloud Native Platform for Telco | 박종한 (수석/삼성전자) | |
Session H2 | Future Application of Emerging Cloud Computing (좌장: 이승윤 센터장 / ETRI) | ||
14:00~15:50 | H2-1 | Intelligent Service with Cooperative Cloud Edge Platform | 김선욱 (책임연구원/ETRI) |
H2-2 | Cloud-Native Modern Application Patterns | 윤석찬 (테크에반젤리스트/AWS) | |
H2-3 | When 5G met Cloud Native Computing | 윤대균 (교수/아주대학교) | |
Session H3 | Emerging Cloud Architechture & Devops (좌장: 우홍욱 교수 / 성균관대) | ||
16:10~18:00 | H3-1 | Biometric Identification Services on Cloud | 김홍수 (데이터 엔지니어(팀장)/카카오페이) |
H3-2 | Serverless Computing at Naver | 김동경 (Software Engineer/NAVER) | |
H3-3 | Large Scale GPU Cluster for AI | 조규남 (수석연구원/삼성리서치) | |
Track I: Future Of Networks 2030 | |||
Session I1 | AI/ML for 네트워크 (좌장: 나성욱 팀장 / NIA) | ||
09:00~ 10:50 | I1-1 | AI/ML 기반 네트워크 표준 기술 및 선도시험망 적용 | 백성복 (박사/KT) |
I1-2 | Reinforcement Learning for Contents Caching Networks | 곽정호 (교수/대구경북과학기술원) | |
I1-3 | 분산 AI GPU 클러스터를 위한 모델인지형 네트워킹 | 정재웅 (대표/아토리서치) | |
Session I2 | Programmable 네트워크 (좌장: 백상헌 교수 / 고려대) | ||
14:00~ 15:50 | I2-1 | NG-SDN 기술 동향 | 강경순 (책임연구원/ETRI) |
I2-2 | MEC기반 초고속·초저지연 선도네트워킹 기술 및 실증 | 박성용 (CEO/쿨클라우드) | |
I2-3 | P4를 활용한 SRv6/GTP-U 구현 기술 | 이충한 (선임연구원/토요타 자동차) | |
Session I3 | 이머징 네트워키 기술 (좌장: 석승준 교수 / 경남대) | ||
16:10~ 18:00 | I3-1 | 글로벌 고성능 R&E 네트워킹 기술 이슈 및 전망 | 조부승 (박사/KISTI) |
I3-2 | 미래 디지털 사회를 위한 이머징 네트워크 기술 | 고남석 (실장/ETRI) | |
I3-3 | 미래 혁신 이머징 서비스와 기술 | 이종민 (상무/SK텔레콤) | |
Track J: What, Why and How of AI & Open Source | |||
Session J1 | Ai for Network and Big Data-Ⅰ (좌장: 이주현 교수 / 한양대) | ||
09:00~10:50 | J1-1 | Communication Efficient Training for Neural Networks | |
Session J2 | AI for Network and Big Data- Ⅱ (좌장: 주성순 박사 / ETRI) | ||
14:00~15:50 | J2-1 | BeeAI: Artificial Intelligence Application DevOps Platform Techonology | 이연희 (실장/ETRI) |
J2-2 | 로봇 오픈 소스 소개 | 최규남 수석 / ROS KOREA | |
Session J3 | Open Source Projects (좌장: 박수홍 그룹장/삼성전자) | ||
16:10~18:00 | J3-1 | 통신망 인프라에서의 오픈 소스 사용 현황 및 이슈 | 신상호 (매니저/SK텔레콤) |
J3-2 | Cloud-Barista: Technology and Community for Journey to the Multi-Cloud | 강동재 (PL/ETRI) |
Special Session _ 6월22일(월)
Intelligent Industry (디지털헬스, 스마트 조선) : 이준영 팀장 / NIPA | ||
---|---|---|
14:05~14:30 | (P-HIS) 병원정보시스템의 클라우드 전환 | 이상헌 (단장/교수/고대의료원) |
14:30~14:55 | (닥터앤서) 인공지능을 활용한 진단치료 지원 사례 | 김영학 (교수/서울아산병원/울산대학교 의과대학) |
14:55~15:20 | (응급의료) 5G와 인공지능을 통한 응급의료Process의 개선 | 장혁재 (의료정보실장(CIO) / 정교수/연세의료원 /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
15:20~15:45 | (스마트조선) 시뮬레이션과 인공 지능 | 우종훈 (교수/서울대학교) |
상기 프로그램은 사정에 따란 변경될 수 있습니다.
등록안내
사전등록기간 | 2020년 5월 20일(수)~ 6월 12일(금) |
등록비 및 입금계좌 |
일반: 10만원 학생: 5만원 예금주명: (사)한국컴퓨터통신연구회 / 신한은행: 100-019-796860 |
사전등록방법 |
|
유의사항 | 본행사는 Zoom을 사용하여 온라인 중계로 진행됩니다. (참여 URL은 행사 개최 전 별도 안내 예정) |
등록문의(사무국) | TEL: 02-562-7041 / Fax : 02-562-7040 / E-mail" sec@osia.or.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