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내외 OA 출판 확산에 따른 국내 주요 기관 OA 전환 비용 분석

김윤정 1,174 2024-06-21
권호 제 70호
발간일 2024-06-25
저자 정영임·김환민·정진우·안병군·김완종
2015년 독일 막스플랑크연구회 디지털 도서관에서 발표한 백서에서 전 세계 도서관이 출판사에 지불하고 있는 전자저널 구독료를
오픈액세스 출판비로 전환하는 오픈액세스 전환계약을 통해 구독 저널의 대규모 오픈액세스 전환이 가능하다는 주장이 제시되었다.
이후 다양한 논란 속에서도 전 세계 많은 도서관 컨소시엄과 연구 기관들이 이 취지에 공감하였고, 오픈액세스 전환계약 사례가
유럽과 미주를 넘어 아시아까지 확산되고 있다. 오픈액세스 전환계약을 기반으로 출판된 하이브리드 OA 논문은 매년 급증세에 있으며
2023년을 기준으로 30만 건에 육박할 만큼 큰 비중을 차지한다. 우리나라에서도 2021년 NST-Elsevier 계약을 시작으로 오픈액세스
전환계약이 체결되고 있으나 주요 출판사와의 대규모 계약에는 이르지 못하였다. 본 이슈브리프에서는 현재 우리나라 주요 기관에서
주요 출판사에 지불하는 구독료가 오픈액세스 출판을 위한 비용으로 충분한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우선 주요 9개 출판사
저널의 논문 출판량과 구독료를 기준으로 각각 상위 30개(중복 제거 후 합 35개) 기관을 선정하고 4개 유형으로 범주화하였다. 이후
전환계약 유형별 시나리오에 따른 비용 분석 결과를 기관 범주별로 제시함으로써 국가적인 오픈액세스 전환 전략 수립의 방향성을 제안하였다.
OPEN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누구나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 페이지에서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 담당부서정책연구센터
  • 담당자김윤정
  • 연락처042-869-1732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