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KISTI,‘과학기술 정보 접근성 강화를 위한 지식인프라 연계·융합’이슈브리프 발간

박성욱 2024-05-27 View. 3,441

KISTI,‘과학기술 정보 접근성 강화를 위한 지식인프라 연계·융합’이슈브리프 발간

- 과학기술 지식인프라의 연계·융합의 효용성 및 발전 방향 제시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원장 김재수, 이하 KISTI)은 과학기술 정보 접근성 강화를 위한 지식인프라 연계·융합에 대한『KISTI 이슈브리프』를 발간하였다.


□R&D 활동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과학기술 정보, 연구데이터, 소프트웨어, 네트워크 자원 등 산재해 있는 연구 인프라를 연계·융합하여 제공하는 플랫폼이 필요하다. KISTI는 과학기술 지식인프라를 한곳에서 통합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2019년부터 ScienceON을 운영해 오고 있다. 


□ ScienceON은 과학기술정보, 국가 R&D정보, 연구데이터, 슈퍼컴퓨터와 초고속 네트워크, 기술·산업분석 소프트웨어 등을 통합하여 연구개발 전주기에 걸쳐 필요한 자원을 제공하는 지능형 플랫폼으로, 연구자들이 아이디어 발굴에서부터 기술이전에 이르기까지 각 R&D 단계에 맞는 자원을 적시에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국내외 핵심 과학기술 지식인프라를 연구자에게 신속하고 망라적인 접근을 제공함으로써 R&D 활동의 효율화를 추구하고, 과학기술 지식인프라의 통합적 제공을 통해 이용자의 접근성 및 활용성 제고시키는 것을 서비스 목표로 삼고 있다. 


□ 이번에 발간된 KISTI 이슈브리프 67호에서는 ScienceON을 중심으로 과학기술 지식인프라 연계·융합의 대표적인 사례를 살펴보고, 그 효용성과 향후 연구개발의 방향성을 제안한다. 본 이슈브리프에서 제시한 과학기술 지식인프라 연계·융합의 대표적인 사례로는 과학기술정보와 국가 R&D 연구성과물의 연계를 통해 연구과제 타임라인 서비스를 구축하고, 국가연구자번호·온라인 회의 기능 등 개별 지식인프라를 ScienceON에서 직접 실행가능하도록 연계한 사례 등이 있다. 


□ KISTI 김재수 원장은 “향후 고수준의 과학기술 지식인프라를 지속적으로 연계·융합하여 다양한 지식인프라의 확장을 도모하고, KISTI가 개발한 생성형 거대 언어 모델(LLM)인 KONI(KISTI Open Natural Intelligence, 한글명 고니)를 활용하여 ScienceON의 지식인프라를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대화형 서비스와 같은 AI 기술 적용을 통해 서비스의 활용성을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OPEN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누구나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 페이지에서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 담당부서
  • 담당자박성욱
  • 연락처042-869-1610
Back to Top